<희망의 힘(The anatomy of hope)>
<희망의 힘(The anatomy of hope)>의 저자 제롬 그루프먼은
혈액학과 종양학 전문의로 하버드 대학 의대교수이며 실험의학과 과장이었습니다.
30여년 간 직접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희망이 병을 어떻게 고칠 수 있나에 대한
연구를 해오면서 이 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의사인 자신이 척추수술을 잘못 받아 19년 동안
재발되는 통증과 장애의 미로속을 헤매며 감옥같은 생활을 해왔습니다.
1979년 가을, 보스턴 마라톤 대회 출전을 위한 훈련을 하던 중에
요추 디스크가 탈출하는 부상을 입었습니다.
디스크 절제술을 받았는데,
반년 뒤 다시 쓰러져서 척추유합술이란 수술을 받았습니다.
깨어나 중환자실에 누워있었는데 마취 기운이 점점 사라지면서
난생 처음 겪어보는 뼈를 깎는 듯한 통증이 하체를 뒤틀었습니다.
더더욱 무서운 사실은 두 발이 전혀 움직여지지 않았습니다.
퇴원하여 몇 달씩 비교적 통증이 덜한 휴식기도 있었지만,
어느 순간 분명 별 무리가 없었을 동작이었음에도 요추에
격렬한 통증 발작이 일어나곤 했습니다.
그렇게 십구 년을 살았고 삶의 벽은 마치 감옥 하나를 가운데 두고
사방을 둘러친 전기 울타리 같았습니다.
깊어지는 통증으로 재활의학 전문의인 제임스 레인빌 박사를 찾아갔습니다.
레인빌 박사는 "지금까지 고통을 피했기 때문에 선생의 삶의 영역은
이렇게 좁디 좁은 공간으로 줄어들었소!
고통을 무시하시오.
선생의 허리 근육들은 정상 긴장도의 30퍼센트에 불과하오.
인대와 힘줄도 오랫동안 쓰지 않아 수축된 상태요.
계속 척추와 근육과 인대를 사용하면서 힘을 길러 그런 기억을 지우시오.
그러면 과거에 입은 손상을 보상하고 다시 정상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소."라고 말했습니다.
병원을 나오는데 심장이 마구 뛰었습니다.
의사로서 희망의 필요성을 익히 알고 있었지만, 자신은 완전히 희망을 포기하고 있었습니다.
레인빌 박사는 그에게 희망을 준 단호한 외부의 목소리였습니다.
희망만이 자신의 병을 고칠 수 있다고 깨달았습니다.
재활 치료가 점점 편해지고, 자신속에 희망이 일기 시작하자
몸의 생리 작용도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로부터 일 년이 조금 지나자 일상의 통증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두려움 없이 아침을 맞았고, 하루 종일 편안히 돌아다녔고,
감사의 기도를 올리며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인간의 몸에는 천연 모르핀이 존재합니다.
'엔도르핀'과 '엔케팔린'으로 불리는 화학 물질입니다.
희망의 두 가지 주성분인 '믿음'과 '기대'가 뇌에서 엔도르핀과 엔케팔린이 분비되게 하고,
이들이 모르핀 효과를 흉내냄으로써 통증이 차단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결과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나 질환을 앓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실험에나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절망감이 커지면 커질수록 뇌의 엔도르핀과 엔케팔린의 분비량은
점점 줄어들고 통증을 배가하는 콜레시스토키닌의 분비량은 점점 늘어납니다.
돈이 강자가 된 것같은 세상이지만 돈보다 강한 것은 희망입니다.
보이지는 않지만, 에너지가 되어 고통을 이겨내게 하고 실패를 딛고 성공하게도 합니다.
끝까지 희망을 포기하지 않으면 희망은 배신하지 않습니다.
<옮겨온 글>
'일상공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현대인인가? (0) | 2024.06.27 |
---|---|
이른 코스모스 (0) | 2024.06.10 |
부처님 오신날 '신안사'를 다녀오다 (0) | 2024.05.16 |
마음이 만드는 변화 (0) | 2024.04.19 |
봄의 소리 '봄꽃' (0) | 2024.04.09 |